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5

나사렛 사람들 나사렛의 어원 나사렛은 구약이나 탈무드에 전혀 언급이 없다. 나사렛이 예수님 탄생 시기에 만들어진 신생 도시이기 때문이다. 나사렛의 지명 Nazareth는 헬라어로서 히브리어의 나차르 nasar (초소,망루)나 네체르nesar (신생,새싹)에서 유래 하였다고 본다. 시리아어로 나스라트 nasrat , 아랍어 나시라 nasirah 로 보아 산 언덕 위에 마을이 망루와 같은 지역임을 의미한다. 나지라이오스 (naziraios : 나사렛 사람들)의 뜻은 이후에 고착 되어진 헬라어 지명으로 본다. 나사렛 지역 예수님 당시에는 큰 길에서도 멀리 떨어져 주요도로 마저도 없는 작고 고립된 마을이었다. 나사렛은 레바논 산맥의 최남단 구릉지이며, 갈릴리 호수에서 서남쪽으로 약 24 Km 위치하며 지중해와 갈릴리 사이 중.. 2022. 11. 22.
누가복음 1 : 1 ~ 4. 친애하는 데오빌로 우리 중에 이루어진 사실에 대하여 처음부터 말씀의 목격자 되고 일군 된 자들의 전하여 준 그대로 내력을 저술하려고 붓을 든 사람이 많은지라 그 모든 일을 근원부터 자세히 미루어 살핀 나도 데오빌로 각하에게 차례대로 써 보내는 것이 좋은 줄 알았노니 이는 각하로 그 배운 바의 확실함을 알게 하려 함이로라. 눅 1 : 1 ~ 4 친애하는 데오빌로 누가는 서문에서 다른 복음서와는 달리 개인적인 문안을 담고 있습니다. 이같은 진리가 한 개인을 통하여 인류에게 전달되었습니다. 모세, 이사야, 마틴 루터 도 그랬습니다. 그리고 많은 다수의 사람들이 보통 이들 소수의 특정인들에게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이들 소수는 극히 적은 소수의 사람들입니다. 그들과 만난다는 것은 아무나 경험할 수 있는 극히 우연한 기회입니다. 매.. 2022. 11. 22.
현천교회 안내 대한예수교장로회 현천 교회는 개혁신앙을 고수하는 개혁주의 교회입니다. 1962년 설립된 지역 최초의 교회입니다. 설립 후 오늘까지 복음 전파 사역과 소외 지역의 봉사로 교적자 총 4852명이 출석했으며, 세례자 521명에게 학습과 세례를 베풀었습니다. 설립 후 목사, 선교사, 전도사 사역자 27명이 본 교회에서 함께 임했습니다. 1990년 해외 선교를 시작으로 해외 국제 교단들(미국 북장로교, 미국 언약 교단, 월드 호프 세계선교회, 실로암 세계선교회, 세계 목회자협의회)과 1000 여개 미자립 교회와 현장의 목회자들을 지원했으며,14개의 해외 교회 (필리핀, 인도네시아, 인도)의 예배처를 건축하고 유지 지원 했습니다. 선교사 파송과 현지 선교사를 양성에 힘써 왔습니다. 1982 ~ 2000년까지 현천리.. 2022. 4. 18.
출애굽 못하는 사람들 출애굽기 32장 1절부터 6절 1. 백성이 모세가 산에서 내려옴이 더딤을 보고 모여 아론에게 이르러 가로되 일어나라 우리를 인도할 신을 우리를 위하여 만들라 이 모세 곧 우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사람은 어찌 되었는지 알지 못함이니라 When the people saw that Moses was so long in coming down from the mountain, they gathered around Aaron and said, "Come, make us gods who will go before us. As for this fellow Moses who brought us up out of Egypt, we don't know what has happened to him." 2. 아론이 그들.. 2022. 4. 15.
성경과 신화 신들의 이야기는 의도가 있다. 많은 신들의 이름과 이야기는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 모든 이야기가 그렇듯이 신화도 독자를 의식한 상대 시점을 빼놓을 수는 없다. 독자를 염두 한다는 것은 이 이야기가 창작자와 독자를 절대 시점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마치 신들의 이야기만을 기록한 것 같지만 그곳에는 반듯이 청중을 위한 창작의도를 담고 있다. 어떤 신화들은 상징적 공감으로 여러 사람들의 관점을 지나 구술 되기도 했다. 이 많은 신화들은 여러 세대를 이어온 공감으로 되어 진 공동의 작품들이다. 이 공감의 목적은 그들의 땅과 삶을 걸러낸 변하지 않는 정체성에 부여하는 것이다. 이 목적의 대상은 변함없이 독자이다. 신화는 부족에서 민족에 까지 혈연적, 연합적 동질성을 상징화하고 암시한다. 신화의 가치를 더해주는 신비.. 2019. 3. 30.